본문 바로가기
영화

(영화) 서울의 봄 / 정보 및 역사적 해석의 차이점

by 테일피스 2023. 12. 26.
반응형

서울의 봄(12,12 사태)

우리 인간은 누구나 5욕 7정에 사로잡혀 살아가고 있다. 불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말이지만 그중에서도 돈과 명예 욕심은 정말 끝이 없는 것 같다. 권력의 공백기에 쿠데타를 일으키고 정권을 창출해 내는 과정을 영화로 만들었으며 그럴 수밖에 없었다는 암울한 시대적 변명을 말하는 것 같아 못내 아쉽기만 하다.

영화 / 서울의 봄 포스터

10.26 사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12.12 군사반란 사태로 대한민국을 위기에 빠트리면서 까지 정권을 잡은 인물은 보안사령관 전두광(황정민)이다. 권력에 눈이 멀어 전방의 부대까지 서울로 불러들인 전두광과 이를 막는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정우성)의 목숨을 건 대립이 사실감 있게 잘 묘사되었다. 만약 그날 이태신 사령관이 전두광 세력을 진압하고 쿠데타를 막았다면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돌아보면 민주화가 되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지금의 굳건한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그러한 흑역사조차 거스를 수 없었던 운명이었다고 하면 할 말이 없다.

일전에 올린 "남산의 부장들" 속편을 보는 듯 하지만 격변기에 일어난 다른 사건에 포커스를 맞추면서 그때 만의 상황을 긴박하게 전개하고 있습니다. 두 영화가 사실감 있게 잘 묘사되었지만, 약간의 허구가 가미된 것은 영화의 흐름상 어쩔 수 없는 듯합니다. 천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서울의 봄"은 젊은 세대들이 꼭 알아야 할 역사입니다.

반응형

댓글